한시

눈이 개다 스스로 짓다

이슬과 노을 2022. 7. 3. 17:09

바람 급하니 눈꽃은 솜처럼 날리고                                                         요즘의 안부를 묻사오니 어떠하온지요.

산에 눈이 개니 구름 잎사귀 솜보다 더 희구나.                                       달 빛 비단 창 들어오면, 한이 많아져요.

와중에 새로 지은 시 없음을 이상히 여기지 말라.                                    꿈속의 혼백이 걸어서 흔적 남았다면

예부터 좋은 흥취 쉽게 전하지 못한다 하네.                                            문 앞 들길이 곧 모래가 되었겠지요

                     -- 조선의 변계량--                                                                         -- 조선의 이옥봉--

 

               첫눈                                                                                                        눈경치

세모의 하늘 파랗고 아득한데                                                                   천황 씨가 죽었나 인황 씨가 죽었나 

첫눈이 산천에 두루 내리네.                                                                      나무와 청산이 모두 상복을 입었네.

새는 산속 둥지를 잃고                                                                              밝은 날에 해가 찾아와 조문한다면

스님은 바위 위의 샘물 찾는다.                                                                  집집마다 처마 끝에서 눈물 뚝뚝 흘리겠네.

굶주린 새들은 들판에서 울고                                                                                  -- 조선의 시인 김삿갓--

얼어버린 버드나무 개울가에 누웠네.                                                                   산원소매

어디쯤에 인가가 있는가                                                                            온갖 꽃은 떨어져도 홀로 화사하고 고와

먼 숲에서 흰 연기 피어오른다.                                                                  풍정 모두 차지하고 작은 동산에 있네.

             --조선의 이승인--                                                                          얕고 맑은 물에 성긴 그림자 드리우고

                       팥죽                                                                                    황혼의 달빛 아래 은은한 향기 떠오르네.

나라 풍속 동지에, 콩팥죽 짙게 쑤어                                                          겨율새는 내려 앉으려 먼저 살피고

비칏빛 주발에 그득 담으니 빛깔이 공중에 뜨는구나.                                흰 나비 그 향기 알아 만나자 혼미하네.

언덕에서 딴 꿀을 섞어 목구멍에 남기면                                                    다행히 조용히 시 읊으며 친할 수 있으니

삿된 기운 다 씻어내어 배 속을 따뜻하게 하네.                                          어찌 노래와 술이 반드시 필요하리오

              --고려의 이색--                                                                                      -- 송의 임포--

         시골 농가의 정월 초하루                                                                                  겨울밤

어제 저녁 북두가 북에서 돌다                                                                    텅 빈 집 밤 되니 더욱더 썰렁하여

오늘 아침은 새해가 동에서 뜬다                                                                뜰에 내린 서리나 쓸어보려 하였다가

내 나이는 이미 마흔 살인데                                                                       서리는 쓸겠는데 달빛 쓸어내기 어려워

벼슬없이 아직 농사일 걱정한다.                                                                그대로 밝은 빛과 어우러지게 그냥 남겨 두었네.

뽕나무 들판에 농부에게 나가고                                                                                -- 조선의 황경인--

호미를 메고 목동 따라 나선다

농가마다 모두 날씨를 점쳐 보고는

모두가 올해는 풍년이라 말한다.

          -- 당의 시인 맹호연--*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밤 장소부에게 지어 응답하다  (0) 2022.07.05
겨울 고송  (0) 2022.07.04
입추후제 소세양을 보내며  (0) 2022.07.02
가을 매미 소리 빗속 친구 생각  (0) 2022.07.01
달밤에 아우를 생각하다 술을 마시며  (0) 2022.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