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겨울밤 장소부에게 지어 응답하다

이슬과 노을 2022. 7. 5. 17:07

밤은 깊어 괴로운데 물시계 치는 소리                                                     늙으니 고효함이 좋아져서

남은 향기 감도는 따뜻한 화로                                                                 매사에 마음이 가지 않네

어렴풋한 새벽이 창문에서 밝아오는데                                                    스스로 돌아봐도 좋은 대책 없어

닭 우는 소리 처량하고 달빛 흐르네.                                                        막연히 옛 고향 숲으로 돌아가는 줄만 알았어라.

                  --조선 김삼의당--                                                                   솔바람이 풀어 놓은 허리띠에 불고

                                                                                                                산에 뜬 달은 타는 금을 비추네

                        눈                                                                                    그대는 내게 통달한 이치를 묻는데

강 위로 날 저무니 봉우리들 차가운데                                                     어부의 노래가 포구 깊은 곳으로 들어온다.

가볍게 비스듬히 눈 내려 마음이 한가로워라.                                                     --당의 시인 왕유--

흰머리 낚시 노인 푸른 삿갓 썼는데

제몸이 그림사이에 있는 줄 어찌 알까?                                                                     感 遇

                    --조선 홍간--                                                                         강남 땅에 단귤나무 있어

                                                                                                                 겨울 지나도 여전히 푸른 숲이네

            밤 사이 내린 눈                                                                             어찌 그 땅이 따뜻해서리요

이불과 베개가 차가운게 의아하다 했더니                                                 스스로 추위 이기는 마음이 있다네.

그 위에 창문의 빛이 환하게 보이기까지 하네.                                           반가운 손님에게 돗자리를 깔아 드릴 수 있지만

밤 깊어 눈이 무겁게 내린 걸 알게 된 것은                                                 가로막음이 무겁고 깊은 것을 어찌하리요

가끔 대나무 꺽이는 소리 들려서라네.                                                        운명이란 단지 우연히 만나는 것일 뿐

                 --당의 백거이--                                                                           돌고 돌아 억지로 찾지는 못하리

                                                                                                                    부질없이 복숭아와 오얏만 심으라고 말을 하지만

                                                                                                                    이 나무엔들 어찌 쉴 만한 그늘 없으리

               친구에게 묻다

새로 빚은 술 부글부글 끓어오르고                                                                            원진에게 장난삼아 답하여

작은 화로는 빨갛게 불 피어오르네.                                                봄바람 하늘 끝까지 이르지 않았는지

날은 저물고 하늘엔 눈 내리려 하니                                                 2월 산성에 아직 꽃핀 것을 보지 못했네

한잔 술 마시지 않고 되겠는가?                                                       잔설이 나뭇가지 누르고 있는 데도 귤이 있고

                   --당의 백거이--                                                              차가운 우레 소리에 죽순이 놀라 싹트려 하네

                                                                                                         밤에 돌아가는 기러기 소리 들으니 고향 생각 간절하고

               매화                                                                                   병든 몸으로 새해를 맞으니 고운 경물에 울컥해지네                                                                                                               일찍이 낙양성에서는 꽃 속의 나그네

개울가에 한매는 이미 피었을 텐데                                                   들꽃이 늦어도 한탄할 필요 없다네.                                벗은 매화 한 가지 꺾어 보내지 않는구려                                                                                          --송의 시인 구양수--        하늘 끝인들 어찌 꽃이야 없겠나만

무심한 그대 향해 술잔을 드네.

           --송의 시인 주희--